긍정과 열정의 기록상자

간단하게 풀어보는 국어 학습문제

 

 

 

 

 

 

 

 

 

Q. 다음 중 언어에 문화가 반영된 예가 아닌 것은?

 

1. 우리말에는 농사와 관련된 어휘가 많다.

2. 우리말에 비해 에스키모인의 말에는 눈에 관한 단어가 많이 있다.

3. 영어의 'rice'한 단어로 지시하는 말이

우리말에서는'벼','쌀' 등으로 구분되어 표현한다

4. 우리말은 영어와 달리 '주어+목적어+서술어'의 어순이다.

 

 

정답: 4

해설 언어는 그 자체가 문화로서 다른 양식의 문화를 창조하고

축적하는 수단으로 사용된다.

한 나라의 문화적 특성은 특휘 어휘 부분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반영된다.

 

 

 

 

 

 

 

 

 

Q. 다음 중, 어법에 맞고 의미의 전달이 가장 자연스러운 것은?

 

1. 글짓기에 비하여 볼 때 작품 읽기는 글짓기에 비해 덜 힘이 든다.

2. 현대인은 광고에서 생활에 필요한 정보를 얻으며 광고를 이용한다.

3. 그는 정구를 치고 있는 동안

자기가 호수에 수영하러 갈 것이라는 것을 마음먹었다.

4. 중국을 중심으로 형성된 유교 문화권에서는

'선비'라는 독특한 인간형을 찾아볼 수 있다.

 

 

정답: 4

해설

1. 중복 표현'~에 비해)을 피해 '작품 읽기는 글짓기보다 힘이 덜 든다.'

로 고쳐 써야 한다.

2. '광고를 통하여 생활에 필요한 정보를 얻는다.'정도로 쓰는것이 좋다.

3. '정구를 치면서 그는 호수에 수영하러 갈 생각을 하였다'로 고쳐야 한다.

 

 

 

 

 

 

 

 

 

Q. <보기>의 속담을 이용하여 한 편의 글을 쓰고자 할때,

그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보기>

- 선무당이 마당 기울다 한다.

- 봉사가 개천을 나무란다.

 

1. 자신의 능력보다 더 큰일을 도모함을 비판

2. 신중하지 못한 경솔한 행동에 대한 비판

3. 분수를 모르고 행동하는 사람 비판

4. 남에게 책임을 전가하는 태도 비판

 

 

정답: 4

해설 <보기>는 자기의 기술이 모자라 일을 잘 하지 못하는 사람이

그 사실을 인정하지 않고 다른 사람이나 도구의 탓을 하는 속담들이다.

이와 비슷한 말에 '글 못한 놈 붓 고른다, 서투른 무당이 장고 나무란다,

쟁기질 못 하는 놈이 소 탓한다.' 등이 있다.